신앙
애지중지 키운 아이 버릇 나빠
 저희 부부는 외아들을 키우고 있습니다. 너무 애지중지 양육해 아이가 버릇이 없어 걱정이 됩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저희 부부는 외아들을 키우고 있습니다. 너무 애지중지 양육해 아이가 버릇이 없어 걱정이 됩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 문제는 현대 핵가족시대의 부모들 중 대다수가 경험하는 일입니다. 자녀를 지나치게 사랑하고 과보호한 나머지 자녀에게 절대적인 힘을 부여하면 아이가 폭군처럼 됩니다. 이것은 아이 자신보다는 부모에게 더 큰 책임이 있습니다. 결국 아이가 그렇게 된 것은 성격 때문이기보다는 맹목적인 사랑의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현대 핵가족시대의 부모들 중 대다수가 경험하는 일입니다. 자녀를 지나치게 사랑하고 과보호한 나머지 자녀에게 절대적인 힘을 부여하면 아이가 폭군처럼 됩니다. 이것은 아이 자신보다는 부모에게 더 큰 책임이 있습니다. 결국 아이가 그렇게 된 것은 성격 때문이기보다는 맹목적인 사랑의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아이에게 규범적인 제약도 하지 않고 거절하는 일 한 번 없이 아이를 아주 조심스럽게 앙육하면 아이는 전적으로 부모에게 의존하게 됩니다. 모든 결정을 내릴 때마다 부모에게 의존하는 성인아이가 되는 결과를 초래 합니다. 냉철하게 살펴본다면, 부모의 빈틈없는 배려가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또 아이를 잘 양육하여 옳은 길로 인도하겠다는 부모의 욕망은 아이가 부모를 계속해서 의지하게 만듭니다. 이렇게 자라난 아이는 인생에 난관이 올 때 무기력한 인생의 낙오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를 그릇된 길로 인도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고는 무척 당황하게 됩니다.
 아이들을 양육함에는 사랑 뿐 아니라 엄격한 규율도 필요합니다. 또한 가정예배를 통하여 참된 부모공경과 이웃사랑,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자녀가 바르게 성장하도록 도와주십시오.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잠 22:6) “또 아비들아 너희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고 오직 주의 교양과 훈계로 앙육하라”(엡 6:4)
상담소 제공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